분류 전체보기(232)
-
[CoreML] Apple도 AI 한다고 - CoreML의 기본 개념을 배워보자
내 블로그에서 올라오는 글의 비중을 보면 알겠지만, 현재는 iOS 개발을 공부하는 비중이 내 개발 공부의 8할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지금 나는 릴리즈 프로젝트도 진행해 보고,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문서들을 참고하고, RxSwift, 디자인 패턴, 아키텍처 등을 공부하면서 iOS 개발자가 되기 위한 지식을 조금씩 길러가는 중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항상 인공지능(AI), 머신러닝(ML), 딥러닝(DL) 분야에 대한 배움의 갈증을 느낀다.우선 전역 후 복학을 하면, 학교에서는 소프트웨어융합학과 "데이터 사이언스 트랙" 커리큘럼을 따라가야 하기에,지금 내가 주로 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개발보다는 데이터 사이언스, 머신러닝 분야에 대한 공부가 자의든 타의든 더 주축이 돼야 한다는 이유가 크다.하지만 이 말고도..
2023.04.14 -
[Programmers/Lv. 0] 코딩테스트 입문 Day 7 - 문자열, 조건문, 수학, 반복문 (Python)
1. 특정 문자 제거하기 (문제 설명, 제한사항, 입출력 예) 문자열과 문자가 주어질 때, 주어진 문자를 제거한 문자열을 반환하라는 문제이다. (내가 생각한 풀이 과정) 문자열을 변경하는 replace 함수가 생각났다. 사용하는 형식은 "변수.replace(바꾸고 싶은 문자, 바꿀 문자)"이다. (코드) 더보기 💡 내 코드 def solution(my_string, letter): return my_string.replace(letter, "") 2. 각도기 (문제 설명, 제한사항, 입출력 예) 각 angle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각 예각은 1, 직각은 2, 둔각은 3, 평각은 4로 반환하라는 문제이다. (내가 생각한 풀이 과정) if문을 이용해서 각각 조건을 나눠주는 방법을 생각했다. 대신, if..
2023.03.15 -
[Programmers/Lv. 0] 코딩테스트 입문 Day 6 - 문자열, 반복문, 출력, 배열, 조건문 (Python)
1. 문자열 뒤집기 (문제 설명, 제한사항, 입출력 예) 문자열을 뒤집으라는 문제이다. (내가 생각한 풀이 과정) 앞선 배열 뒤집기에서의 슬라이싱 방법을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풀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코드) 더보기 💡 내 코드 def solution(my_string): return my_string[::-1] 2. 직각삼각형 출력하기 (문제 설명, 제한사항, 입출력 예) 길이가 정수 n인 직각 이등변 삼각형을 출력하라는 문제이다. (내가 생각한 풀이 과정) for 반복문을 이용하여 1부터 n까지 수를 늘려가면서 "*"의 갯수를 곱해주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코드) 더보기 💡 내 코드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1): print("*"*i) 3. 짝수 홀수..
2023.03.13 -
[Programmers/Lv. 0] 코딩테스트 입문 Day 5 - 수학, 배열 (Python)
1. 옷가게 할인 받기 (문제 설명, 제한사항, 입출력 예) 10만원 이상 사면 5%, 30만원 이상 사면 10%, 50만원 이상 사면 20%를 할인해주는 옷가게가 있다. 구매한 옷의 가격이 주어질 때, 할인을 적용하여 지불해야 할 금액을 구하라는 문제이다. (내가 생각한 풀이 과정) 가격에 따라 if-elif-else문을 이용하여 조건을 나누면 쉽게 답을 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코드) 더보기 💡 내 코드 def solution(price): if price = 100000 and price = 300000 and price < 500000: return i..
2023.03.13 -
[Programmers/Lv. 0] 코딩테스트 입문 Day 4 - 수학, 배열 (Python)
1. 피자 나눠 먹기 (1) (문제 설명, 제한사항, 입출력 예) 피자를 나눠먹을 사람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 모든 사람이 한 조각 이상 먹기 위해 필요한 피자의 수를 구하라는 문제다. 단, 한 피자는 일곱 조각으로 잘라준다. (내가 생각한 풀이 과정) 1부터 7까지는 1판, 8부터 14까지는 2판, 15부터 21까지는 3판... 이런 식으로 7의 배수를 기준으로 반환값이 구분된다. 즉, n값을 7로 나누었을 때 그 결괏값을 참고한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았다. 7을 7로 나누면 1이지만, 1부터 6사이의 값을 7로 나누면 0이 나오니 +1을 시켰다. 마찬가지 14를 7로 나누면 2이지만, 8부터 13 사이의 값을 7로 나누면 1이 나오니 +1을 시켰다. 이런 식으로 7의 배수인 값과 그 이전..
2023.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