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32)
-
[GitHub] 깃허브에서 Create a new release를 눌러보자
아무튼 오늘 다룰 글은 나다 홍보글(?)이 아니고 깃허브 안에서도 릴리즈(Release)라는 기능을 제공한다고 하길래 그 방법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릴리즈(Release)란 소프트웨어를 빌드한 결과물을 배포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조금 더 쉽게 말하자면, 더 많은 사용자에게 소프트웨어 배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묶은 상태에서 코드를 제공하는 GitHub만의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모든 내용은 아래 깃허브 공식문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고, 차근차근 하나씩 아래 사진과 글을 따라가면서 배워보도록 하자. About releases - GitHub Docs About releases Releases are deployable software iterations you ..
2022.01.08 -
[iOS] UserDefaults를 사용해서 온보딩(Onboarding) 화면을 만들어보자
오늘은 온보딩(Onboarding) 화면을 구현하고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글을 써보려고 한다. 온보딩(Onboarding)이란 사용자가 앱을 처음 들어왔을 때, 기본적인 앱에 대한 소개와 새로운 사용자에 대한 환영을 해주는 화면을 뜻한다. 보통 온보딩은 처음 1회를 기준으로만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화면이며, 온보딩이 2개 이상일 경우 보통 '건너뛰기' 같은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조금 더 자세하게, 애플의 H.I.G(Human Interface Guide)에 설명되어 있는 온보딩 내용을 살펴봐보자. 1. 사용자에게 설정이 아닌, 앱을 즐길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온보딩을 제공하세요 2. 빠른 액션을 제공하세요 (튜토리얼이나 순서가 있는 화면인 경우, skip 기능을 제공하며, 다시 돌아올 때..
2022.01.08 -
[CJ UNIT 5기] #4 - 2박 3일간의 기록, 아이디어 경진대회 회고
2021.12.01-03 지난주 해단식을 끝으로 CJ UNIT 5기 활동이 모두 끝났다. 모든 활동은 끝났는데... 아직 블로그에 올려야 할 회고 글은 좀 남아있어서... 큰일이다... 군대 가기 전에는 다 쓰고 가야 될 텐데.... 다 쓰고 갈 수 있겠ㅈ...... 아무튼 오늘은 CJ UNIT 5기 회고글 4탄! 목포 혜인여중에서 오프라인으로 2박 3일 간 진행되었던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되돌아보는 글을 써보려고 한다 ^__^ 시간이 없으니깐 바로 시자악💨 벌써 몇 번째 말하는 건지 모르겠는데, 우리 SW~ing조가 담당했던 학교는 목포에 있는 혜인여자중학교라는 곳이었다! 이번 기수 CJ UNIT SW창의캠프 커리큘럼 상으로는 13주간 줌을 통해 비대면 온라인 교육을 진행하고, 코로나 변동 상황에 따라 ..
2022.01.08 -
[Mac] 맥 터미널 기본 사용법을 배워보자
맥북을 사용하는 개발자 중에서 터미널을 사용해보지 않은 개발자가 과연 있을까?터미널(Terminal)은 맥(macOS)에서 지원하는 커맨드 라인 툴(command line tool)이다.개발을 할 때, 기본적인 파일 접근부터 깃(Git) 관리까지 보통 이 터미널에서 명령을 입력하며 진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본적인 터미널 명령어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그래서 오늘 글에서는 아직 터미널 사용법이 익숙하지 않을 분들을 위해, 내가 자주 사용하는 기준으로 하나씩 명령어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캡처 화면이 기본 터미널 화면과 다른 이유는, 내 맥북은 다음에 다룰 iTerms2라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_^)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명령어 목록이다. 계속 새로..
2022.01.07 -
[Social Login]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 그리고 Auto Login까지
이번 나다 NADA 어플 릴리즈를 준비하면서 가장 많이 공부한 부분이 "로그인"과 관련된 부분일 거다.처음 아요끼리 담당 기능, 파트를 나눌 때, 내가 로그인을 맡겠다고 (겁 없이) 지원했었는데...왜 그랬는지... 모르겠다... 사실 로그인이 이렇게 공부할 점이 많고 많은 이슈가 생길지는 몰랐기 때문ㅇ.....아무튼 그래도 배운 점은 진짜 많았다.사실, 서버에 '서'자도 모르는 나였는데, 내가 도-약할 수 있었던 두 가지 계기가첫째는 라이브러리 Moya를 사용했을 때, 둘째는 소셜 로그인 API를 사용했을 때일 것이다.아무튼, 오늘은 내가 피나게(?) 공부했었던 로그인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들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다.(공부했던 두 가지 소셜 로그인 방법(카카오톡, 애플)은 아래 포스팅에서 ..
2022.01.05